IT's 우

[카카오 클라우드 스쿨]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교환, 정적 파일 본문

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2기

[카카오 클라우드 스쿨]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교환, 정적 파일

디우 2022. 11. 24. 10:38
728x90

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교환

  • 접속할 때마다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출력
  • 서버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고 접속할 때마다 서버의 데이터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비교해서 수정이 발생했을 때만 업데이트 -서버의 데이터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양쪽에서 수정한 시간을 기록한 후 클라이언트의 수정 시간이 서버의 수정시간보다 이전이면 업데이트를 수행

정적 파일

웹에서는 소스코드를 제외하고 서버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용도가 아닌 파일

html, css, js, 이미지, 사운드, 동영상 등


클라이언트 <-> 서버 프로그램

클라이언트가 요청과 데이터를 서버에게 전송하면 서버는 데이터를 읽어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전송하는 방식

 

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읽어내야 합니다.

테스트를 할 때는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나누어서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웹 프로그래밍에서는 요청 방식이 get post 2가지가 기본 형식이므로 get 방식 일 때와 post 방식일 때 모두 읽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.

 

 

MySQL이나 MariaDB에서 데이터 일부분을 가져오기(TOP-N)

-> SELECT 구문의 마지막에 limit(시작하는 번호, 데이터 개수)를 추가해주면 됩니다.

데이터 개수: 10

1페이지의 시작번호는 1

2페이지의 시작번호는 10

3페이지의 시작번호는 20

4페이지의 시작번호는 30

 

건너뛸페이지개수=(페이지번호 -1)*데이터개수

 

-> 페이지 번호가 전체 데이터 개수보다 커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데이터를 하나도 못 찾아옵니다.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전체 데이터 개수보다 더 뒤에 있는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을 하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요청을 하고 처리를 하려고 합니다. 

클라이언트 측에서 서버에게 전체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를 요청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하면 이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의 개수를 전달해주면 됩니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